[BAEKJOON] 검증수 (2475번)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function numberOfVerifications() { let inputMap = input.map(x => Number(x * x)); let answer = 0; inputMap.forEach(function(element) { answer += Number(element); }); console.log(answer % 10); } numberOfVerifications(input); [BAEKJOON] OX퀴즈 (8958번)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 version1 function sumScore(input) { let testCase = input[0]; for(let i = 1; i [BAEKJOON] 문자열 반복 (2675번)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function printString(input) { let testCase = Number(input[0]); for(let i = 1; i x.repeat(times)).join(""); console.log(answer); } } printString(input); [BAEKJOON] 음계 (2920번)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function checkTheScale(input) { let scale = Number(input.join("")); let ascending = 12345678; let descending = 87654321; if(scale === ascending ) { console.log("ascending"); } else if (scale === descending) { console.log("descending"); } else { console.log("mixed"); } } checkTheScale(input); [BAEKJOON] 최댓값 (2562번)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function findBiggestNumber(input) { let numberArr = input.map(x => Number(x)); let biggestNum = Math.max(...numberArr); console.log(biggestNum); console.log(numberArr.indexOf(biggestNum) +1 ); } findBiggestNumber(input); [CS] POST 요청이란? POST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된다. POST는 전송할 데이터를 HTTP 메시지 body부분에 담아서 서버로 보낸다. body의 타입은 Content-Type 헤더에 따라 결정 된다. POST로 데이터를 전송 할 때 길이 제한은 따로 없어 용량이 큰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기도 한다. POST 요청은 GET요청과 다르게 데이터가 외부에 노출 되지 않는다. POST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HTML form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 POST 요청의 특징 POST 요청은 캐시되지 않는다. POS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지 않는다. POST 요청은 북마크 되지 않는다. POST 요청은 데이터 길이에 제한이 없다. [CS] GET 요청이란? GET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 GET을 통한 요청은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 이부분을 쿼리스트링이라고 부른다. ex) www.example.com/show?name1=value1&name2=value2 서버에서는 name1과 name2라는 파라미터 명으로 각각 value1과 value2의 파라미터 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GET요청은 예를 들면 게시판의 게시물을 조회할 때 쓸 수 있다. GET의 특징 GET 요청은 캐시가 가능하다. GE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는다. GET 요청은 북마크 될 수 있다. GET 요청은 길이제한이 있다. -> 브라우저마다 제한이 다르다. GET 요청은 중요한 정보를 다루면 안된다... [BAEKJOON] We love kriii (10718번) // 1 console.log("강한친구 대한육군"); console.log("강한친구 대한육군"); // 2 function printStrongArmy() { console.log("강한친구 대한육군"); console.log("강한친구 대한육군"); } printStrongArmy(); // 3 let printStrongArmy = function() { console.log("강한친구 대한육군"); console.log("강한친구 대한육군"); } printStrongArmy();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